2024년 12월 27일부터 대한민국에서는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도 스마트폰을 통해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‘모바일 주민등록증’ 서비스가 도입됩니다.
![](https://fmca.kr/wp-content/uploads/2024/12/모바일주민등록증0.webp)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
- 주민센터 방문 발급:
- 절차: 가까운 읍·면·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본인 확인 후,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위한 1회용 QR 코드를 받아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- 주의사항: 휴대전화를 변경할 경우, 다시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재발급받아야 합니다.
- IC칩 내장 주민등록증 활용:
- 절차: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을 소지한 경우,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통해 직접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- 장점: 휴대전화를 교체하더라도 주민센터를 재방문하지 않고 재발급이 가능합니다.
- 비용: IC칩 내장 주민등록증 발급 시 수수료는 5,000원이며, 2025년부터는 17세가 되어 주민등록증을 최초 발급받는 국민에게 IC칩 내장 주민등록증이 무료로 제공될 예정입니다.
보안 및 유의사항
- 보안: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이 적용되어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합니다.
- 발급 제한: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1대에만 발급이 가능하며,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년마다 재발급이 필요합니다.
- 분실 시 대처: 휴대전화를 분실한 경우,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이나 콜센터를 통해 즉시 효력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.
사용처
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공공기관, 금융기관, 통신사, 편의점 등 신분 확인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서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시범 운영 및 전국 확대
2024년 12월 27일부터 약 2개월간 세종특별자치시, 경기 고양시, 강원 홍천군 등 9개 지자체에서 시범 발급이 진행되며, 이후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참고 자료:
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으로 신분 확인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.